
2025 보조공학 국제 심포지엄
(보조공학과 e스포츠의 융합: 장애인의 게임 접근성과 직업·사회참여의 확장)
• 대상: 게임접근성과 보조공학에 관심있는 자
• 일시: 2025. 6. 11.(수) 13:00~16:30
• 장소: 서울 양재 aT센터 제1전시장(제20회 대한민국 보조공학기기 박람회 동시 개최)
※ 박람회 관람을 희망하시는 분들께서는 오전 시간에 방문해주시기 바랍니다.
• 참가 규모: 100명(사전 신청 마감 시 현장 접수 불가)
• 참여 방법: 사전 신청을 통한 현장 참여
※ 사전 접수한 현장 참여자에게는 자료집 제공
※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체자료는 사전신청자에 한해 행사 전 제공
• 사전 접수 방법: 온라인 신청(https://buly.kr/2Uiv881) 또는 QR코드 접속
• 연사소개
세션
|
발표주제 및 연사 소개
|
주제발표 ①
|
보조공학을 통한 게임 접근성과 디지털 포용: 캐나다의 실천과 확산 가능성
Game Accessibility and Digital Inclusion through Assistive Technology: Practices and Expansion from Canada
|

|
타일러 펜티(Tyler Fentie) 게임 접근성 책임자 / Makers Making Change (Neil Squire Society) 캐나다 전역의 장애인 게임 접근성 확대를 위해 보조공학 기반의 기기 개발 및 포용적 게임 환경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.
|
주제발표 ②
|
장애인의 게임 참여를 현실로: 장애인을 위한 게임 접근성 보조기기 지원과 개발 사례
Making Gaming a Realit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:
Support and Development of Game Accessibility Devices
|

|
권성진(Sungjin Kwon)
연구실장 /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
20년 이상 보조공학 분야에 종사하며, 오픈소스를 활용한 맞춤형 보조기기 개발 및 게임 접근성 확대를 위한 기기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.
|
주제발표 ③
|
보조공학을 통한 게임 접근성과 직업 참여 확장: 일본 ePARA의 실천과 당사자 경험
Expanding Game Accessibility and Employment Participation through Assistive Technology: Practices and Lived Experiences from Japan's ePARA
|

|
카토 다이키(Daiki Kato)
대표 / ePARA
일본에서 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직업 기회 확대를 위해 e스포츠와 복지를 융합한 활동을 선도하고 있는 전문가이다.
|

|
토리고에 마사루(Masaru Torigoe)
근이영양증 활동가, ePARA 소속 선수 / ePARA
토리고에 마사루는 일본의 근이영양증 활동가이자 e스포츠를 통한 장애인 사회참여 확대에 앞장서는 인물입니다.
|
주제발표 ④
|
포용을 실현하는 게임 산업: 스마일게이트의 D&I 전략과 장애인 전문성 강화 사례
Creating an Inclusive Game Industry:
Smilegate’s D&I Strategy and Empowermen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
|

|
최한나(Hannah Choi)
D&I실 차장 / 스마일게이트
스마일게이트 D&I실에서 게임 접근성을 총괄하며, 장애 당사자의 경험이 개발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전담 직무를 신설했다.
|

|
한지수(Ji-Su Han)
D&I실 주임, 게임 접근성 테스터 / 스마일게이트
한지수는 스마일게이트 D&I실에서 한국 최초의 게임 접근성 테스터로 활동하며, 장애인 게이머들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테스트 및 개선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.
|
|
• 세부 프로그램 일정
시간
|
세션
|
발표주제
|
발표자
|
13:00
|
개회식
|
13:20
|
주제
발표
①
|
보조공학을 통한 게임 접근성과 디지털 포용:
캐나다의 실천과 확산 가능성
|
타일러 펜티
/ Makers Making Change
게임 접근성 책임자
|
14:00
|
주제
발표
②
|
장애인의 게임 참여를 현실로:
장애인을 위한 게임 접근성 보조기기 지원과 개발 사례
|
권성진
/ 경기도재활공학서비스연구지원센터 연구실장
|
14:40
|
주제
발표
③
|
보조공학을 통한 게임 접근성과 직업 참여 확장:
일본 ePARA의 실천과 당사자 경험
|
카토 다이키 / ePARA 대표
토리고에마사루 / ePARA 소속 선수
|
15:30
|
주제
발표
④
|
포용을 실현하는 게임 산업:
스마일게이트의 D&I 전략과 장애인 전문성 강화 사례
|
최한나 / 스마일게이트 D&I실 차장
한지수 / 스마일게이트 D&I실 주임
|
16:10
|
패널토론 및 질의응답
|
공진용 / 나사렛대학교
재활의료공학과 교수
|
|